var, let은 변수선언 키워드 이므로 리터럴 값의 재할당이 가능하지만, const는 리터럴 값의 재할당이 불가능하다.
더욱이 const 키워드는 선언과 동시에 리터럴 값을 할당해 줘야 한다.
리터널이란?
리터럴과 식별자(identifier)의 차이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예를들어 앞에서 room1 변수에 값 “conference_room_a”을 할당한 것을 생각해 봅시다. roo1은 변수를 가리키는 식별자입니다. 그리고 “conference_room_a”은 문자열 리터럴인 동시에 room1의 값이다.
왠만하면 const 키워드를 사용하여 식별자를 선언하고, 값이 변하는 식발자일 경우 let 키워드를 이용하여 선언하자.
-프로그램에서 선언되는 식별자중 값이 변하는 식별자는 드물기 때문
let, const 키워드는 block-scoped, 즉 블록(중괄호) 내부에 let, const로 선언된 변수는 외부 스코프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setInterval 이란?
시간을 간격으로 반복적으로 "콜백함수"를 호출하는 함수이다.
방법
setInterval 함수의 반환값을 변수에 할당해두고,
clearInterval(변수)를 호출하여 반복을 중단하고,
다시 setInterval로 재시작해주면 된다.
intervalID : 반복작업을 종료하기 위해 호출하는 clearInterval() 함수의 파라미터
#clearInterval() 이란?
clearInterval() 함수는, setInterval() 함수에 의해 실행된 반복 작업을 종료하는 함수입니다.